티스토리 뷰
목차
기후위기가 본격화되면서 서울은 점점 더 뜨거워지고 있다. 특히 여름철 극심한 폭염은 노인, 어린이, 저소득층 등 사회적 약자에게 직격탄이 되며, 도시 전체의 건강과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통해 서울의 폭염 재해취약지역을 정밀 분석하고, 폭염 대응형 도시로의 전환을 추진 중이다. 본 글에서는 서울의 폭염 취약지역 현황, 그 원인과 위험 요인, 그리고 이에 대한 도시계획적 대응 방안을 심층적으로 살펴본다.
1. 폭염, 서울을 위협하는 새로운 재난
과거 여름철 자연현상 중 하나로 여겨졌던 폭염은 이제 명백한 재난이다. 서울은 1994년 이후 매년 평균 폭염일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연속 폭염일수가 25일을 초과한 바 있다.
폭염은 단순히 더운 날씨를 넘어서, 심혈관질환, 열사병, 실신, 사망 등 직접적인 건강 피해를 유발하며, 특히 독거노인,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냉방설비가 부족한 주거 취약계층에게 더 치명적이다.
또한 폭염은 전력사용 급증, 교통·통신 장애, 도시 열섬현상 심화 등으로 도시 기능 자체를 위협하는 재난으로 확장되고 있다. 특히 밀집개발, 도로포장 증가, 녹지축 단절이 심한 서울의 도심부는 폭염을 더욱 증폭시키는 구조를 띤다.
2. 폭염 재해취약지역 – 누가, 어디에서 더 위험한가
서울시는 ‘2040 도시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폭염 취약지도’를 작성하였다. 주요 분석 요소는 ▲기온상승이력 ▲지표면온도(LST) ▲인구밀도 ▲노인·취약계층 분포 ▲녹지 부족 ▲도심 열섬현상 등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지역이 대표적인 폭염 재해취약지역으로 분류되었다:
- 중구, 종로구, 용산구 일대: 도심 밀집 지역, 녹지 부족, 열섬현상 극심
- 강북구·성북구의 주거밀집지: 저소득층, 노인 밀집지역, 냉방시설 부족
- 구로·금천의 산업지대: 아스팔트와 공장 지붕 면적 높고, 녹지 거의 없음
- 양천구 신월·신정동 일대: 1인 고령가구 많고, 그늘 없는 골목 다수
- 강서·동대문 일대: 고온지점으로 다수 측정된 지역, 학교·어린이집 밀집
이 지역들의 공통점은 ▲기온이 유난히 높고, ▲녹지가 부족하며, ▲사회적 약자 비율이 높다는 점이다. 즉, 단순한 온도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구조와 결합된 폭염 취약성이 문제의 핵심이다.
3. 2040 서울도시계획의 대응 전략 – 쿨서울(Cool Seoul)을 위한
서울시는 단순한 폭염 대응을 넘어, 도시 구조 자체를 쿨다운(Cool Down)시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은 ‘폭염 적응도시 서울’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제시한다:
- 그늘길 확대 사업: 가로수, 파고라, 캐노피 등을 통해 보행자용 그늘 확보
- 쿨루프·쿨페이브먼트 도입: 건물 옥상·도로포장에 고반사 재료 적용
- 생활밀착형 그린인프라 조성: 자투리 공원, 골목 숲, 마을정원 등 미세녹지 확충
- 폭염 취약계층 지원: 폭염쉼터 확대, 냉방비 지원,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 열지도 기반 도시설계: 고온지역 우선 완화, 도시계획에 열환경 분석 반영 의무화
또한 서울시는 AI 기반 열섬 예측 시스템을 구축해 시간대별 폭염 발생지역 예측과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 학교·병원·복지시설 주변을 폭염완화특화구역으로 지정하여 제도적 관리에 나서고 있다.
결론: 폭염 시대, 도시계획은 생존의 문제가 된다
폭염은 기후와 도시 구조, 사회적 불평등이 얽힌 복합 재난이다. 단순히 개인의 건강문제가 아니라,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직결되는 구조적 위기다.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은 도시의 ‘그늘’을 설계하고, ‘온도’를 관리하며, ‘사람’을 중심에 두는 폭염 대응 전략을 펼치고 있다. 향후 서울은 모든 시민이 안전하게 여름을 보낼 수 있는 회복력 있는 기후적응 도시로 거듭나야 한다.